dbeaver는 무료로 사용 가능한 SQL 클라이언트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입니다. 속도도 빠르고 대부분의 DataBase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전에 mysql과 postgreSQL을 설치해 봤는데요. dbeaver에서도 이들 DB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dbeaver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dbeaver 설치

dbeaver 공식 사이트에 접속하면 커뮤니티와 프로 버전 중에 하나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프로 버전을 사용하면 NoSQLDB뿐만 아니라 다양한 익스텐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무료 버전인 커뮤니티를 사용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이를 다운로드합니다. 파일 용량은 100메가 정도 됩니다.

 

 

2. database 연결하기

먼저 사용하려는 database에 접속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설치한 postgreSQL에 연결해 보겠습니다. 다른 database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하면 됩니다. dbeaver를 실행하고 상담의 [데이터베이스]-[새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선택합니다.

database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뜹니다. 여기서 PostgresSQL을 선택합니다. 자동으로 필요한 드라이버가 다운로드 됩니다.

 

dbeaver-database-선택-화면
database-선택화면



Host, Database, Port, Username, Password를 입력합니다. Postgre설치 시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기본 입력된 값을 그대로 사용해도 됩니다.

연결이 잘 되면 왼쪽에 Database Navigator 탭에서 코끼리 모양 아이콘에 녹색 체크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쿼리 실행

상단의 [SQL편집기]-[새 SQL편집기]를 선택합니다. db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는 아래 쿼리를 실행해 봤습니다.

select * from pg_tables;

 

쿼리를 입력하고 ctrl + enter를 입력하면 실행됩니다. 잘 실행되면 쿼리 편집창 아래에서 그리드 형태로 조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dbeaver 설치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나의 편집기에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 쿼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툴입니다. db작업이 많다면 한 번 이용해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